라벨이 한미정상회담 원전인 게시물 표시

한미정상회담 원전 협력 3대 핵심 정리: SMR 기술, HALEU 연료, 정책 자율화

2025년 8월 25일, 워싱턴 D.C.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은 기존의 군사·경제 중심을 넘어, 에너지 전략 동맹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. 원자력 분야는 이번 회담의 핵심 의제로, 양국은 ▲SMR(소형 모듈 원자로) 기술 협력, ▲HALEU(고순도 저농축 우라늄) 연료 공급망 구축, ▲한미원자력협정 개정 추진이라는 3대 협력안을 공식화했습니다. 이는 단순 기술 이전을 넘어, 수익성 중심의 원전 생태계 재편을 의미합니다. 1. SMR 수출 전략: 민간 데이터센터 전력 시장 진입 KHNP와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의 X-energy 및 Amazon Web Services(AWS)와 함께 Xe-100 SMR 프로젝트 를 공동 추진합니다. AWS는 2039년까지 총 60기의 SMR을 자사 데이터센터에 도입할 계획이며, 이는 글로벌 최초의 민간 SMR 전력 상용화 모델입니다. 한국 기업은 설계, 건설, 연료 공급, 운영 및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며, 전력 판매 계약(PPA)을 기반으로 한 장기 수익 구조 를 구축합니다. 이는 단발성 수주를 넘는 지속 가능한 수익모델로 평가받습니다. 관련 기사 확인 2. HALEU 확보: 핵심 연료 패권 선점 전략 KHNP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 Centrus Energy와 함께 HALEU 연료 공급망 구축 및 농축 설비 투자 MOU 를 체결했습니다. HALEU는 SMR 및 차세대 고온가스로의 핵심 연료로, 현재 미국 외 생산 국가가 거의 없는 전략 물자입니다. 이 협력은 향후 SMR 수출 시 **연료 패키지 통합 수출 모델**을 가능하게 하며, 한국이 **연료 공급국 지위**를 확보하는 데 중대한 전환점이 됩니다. 기사 보기 3. 한미원자력협정 개정: 자율성과 안보를 동시에 현행 한미원자력협정은 한국이 미국 승인 없이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.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**정책 자율권 확보**를 위해 협정 개정을 공식 요청했고, 트럼프 전 대통령은 *...